작성일
2022.01.06
수정일
2022.01.06
작성자
김범석
조회수
501

중점연구소 지원 사업 1단계 추진 경과

1. 중장기 연구계획 대비 추진 경과

- 1단계 추진 경과

연 구 목 표

추 진 경 과

 

 

연구소 전문화·특성화 기반 조성

연구 환경 개선(연구소 전용 공간 확보)

중점연구소 선정에 따른 연구소 실험실 및 연구인력의 전용공간 확보(122 m2)

행정실 공간 확보

연구소 전용 행정실 보유(25 m2)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공간 공동 활용

연구동 2층 연구원실(25m2) 공동 활용

BL2 ABL3 연구시설 공동 활용

연구 인력 개선

연구인력 증원 : 핵심연구원 12명 고용, 겸직연구원 2명 위촉, 연구보조원 71, 행정업무 보조원 6명 고용

연구소 자립기반 구축 노력

생체안전성연구소 지정 외부연구비 간접비

일반 외부연구비 간접비 납부: 1단계 31억원

대학의 연구소 운영 지원 및 특성화 연구소 지원(유급 행정인력 지원, 평가등급별 추가 지원비 지원 1단계 1,500만원

특성화 연구소로서의 유급 행정인력 활용

해외 파견을 통한 국제협력성과

파견목적: IL-7 nuclear receptor의 급·만성 간 질환에서 세포 특이적 역할 규명

파견기관: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202011~ 202110)

연구수행책임자: 김종원 참여 연구원(연구교수)



2. 연구소 운영 및 발전 계획 대비 추진 경과

- 학술대회·세미나 개최 등 추진 경과

생체안전성연구소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제 공동 심포지움 개최(2019)

바이러스의 새로운 병인론에 대한 최신 동향 및 사례에 관한 1차년도 국제 심포지움 개최(6개국 소속 6명의 구두 연자 및 12명의 포스터 발표)

Dr. Dongwan Yoo (University of Illinois, USA)

- 돼지 arterivirus의 숙주 면역 회피 전략 및 백신 후보를 위한 획기적인 디자인 전략 제공

Dr. Zhenya Wang (Zhengzhou University, China)

- 중앙 중국에서 돼지 델타 코로나 바이러스의 역학 및 종간 전파에 대한 정보 제공

Dr. Dal Young Kim (Hong Kong)

- 모기 유래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제작 관련 연구 발표

Dr. Tohru Yanase (Japan)

- 일본에서 반추수 산업동물의 아보 바이러스 감염 보고 및 연구의 한계 발표

Dr. Hsu Wei-Li (Taiwan)

- 타이완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의 발생 정보 제공

최준구 박사 (대한민국)

- 한국에서 매개체 유래 동물 질병에 대한 조사 시스템 소개

연구소 주최로 한국수의병리학회 개최(2019)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전국 10개의 수의과대학 병리학 전공 교수 및 대학원생이 모여 다양한 질병에 대한 발표를 진행(3명의 특별연제, 8명의 일반연제, 22개의 포스터 발표)

제주대학교 정지열 교수

- 고양이의 피부 종양에 대하여 발표

검역검사본부 정병열 박사

- 돼지의 장내 병원균의 발생 보고에 대하여 발표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의 서정향 교수

-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대하여 발표

경북대학교, 건국대학교, 충북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남대학교, 농림축산검역본부, 소속 총 8명의 발표자가 발표

동시에 22개의 포스터가 전시되어 다양한 질병에 대한 최신 동향을 확보

2019년 수의과대학 교육발전 워크숍

본 연구소 공동주최로 2019년 수의과대학 교육발전 워크숍을 부여 롯데리조트에서 실시하였음(1명의 특별발표, 7명의 일반 발표).

원광대학교 김영전 교수

- 학습성과(outcome) 중심 수의학교육의 모색

전북대학교 이기창 교수

- 수의학교육인증평가와 수의학교육 발전방안

생체안전성연구소 김범석 소장

- 아프리카 돼지열병 방역 실태 보고

수의학교육인증 영역별 미비점 및 개선점 발표

- 전북대학교 김상진, 이기창, 한재익, 허진, 유명조 교수

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한국수의병리학회 개최(2020)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전국 10개의 수의과대학 병리학 전공 교수 및 대학원생이 모여 다양한 질병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음(4명의 특별연제, 10명의 일반연제, 18개의 포스터 발표).

농림축산검역본부 해외전염병과 김용주 박사

- Pathological study on pigs infected by African swine fever virus

전북대학교 조호성 교수

- Lumpy Skin Disease(LSD): an emerging threat of Korea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기획과 이황 박사

- 수의분야의 정부 R&D 소개 및 효율화 방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김원근 교수

- Development of Genomic Surveillance and Antivirals against Emerging RNA Viruses

경북대학교, 전북대학교, 건국대학교, 충북대학교, 강원대학교 소속 총 10명의 발표자가 발표

동시에 18개의 포스터가 전시되어 다양한 질병에 대한 최신 동향을 확보

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대한수의학회 2020년 추계학술대회 개최 (Symposium 6 ‘Increasing threat of vector-borne disease’를 주관)

서울대학교 채준석 교수

-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in Animals

경북대학교 최경성 교수

- Prevalence of Tick-borne Pathogens in Animals

전북대학교 엄재구 교수

- Bat-born Virus Diversity in Korea

2020년 수의과대학 교육발전 하계 워크숍

본 연구소 공동주최로 2020년 수의과대학 교육발전 워크숍을 실시하였음(3명의 특별발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 유효현 교수

- 의학교육을 통해 바라본 수의학교육

서울대학교 조제역 교수

- 서울대 수의대 미국수의학교육인증을 통한 국내 수의학 교육 혁신

전북대학교 이기창 교수

- 수의학인증 2020년 연차보고

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한국수의병리학회 개최(online, 2021)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전국 10개의 수의과대학 병리학 전공 교수 및 대학원생이 모여 다양한 질병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음(3명의 특별연제, 12명의 일반연제, 23개의 포스터 발표)

전남대학교 박남용 명예교수

- Mission of the Veterinary Pathology: The past

건국대학교 서정향 교수

- Mission of the Veterinary Pathology: for the present

제주대학교 정지열 교수

- Mission of the Veterinary Pathology: The Future

경북대학교, 전북대학교, 전남대학교, 건국대학교, 충북대학교, 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농림축산검역본부 소속 총 12명의 발표자가 발표

동시에 23개의 포스터가 전시되어 다양한 질병에 대한 최신 동향을 확보

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대한수의학회 2021년 춘계학술대회 개최 (Session 2 ‘The present threat of Vector-Borne Diseases’를 주관)

농림축산검역본부 김현정 박사

- 매개체성 질병의 위협, 동물 전염병의 안전지역은 없다

동국대학교 정철운 교수

- 국내 박쥐의 서식 형황과 생태학적 이해

전북대학교 강준구 교수

- Development of Vaccine Candidates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대한수의학회 2021년 추계학술대회 개최 (Symposium 3 ‘Research Strategy for Combat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s’를 주관)

성균관대학교 권대혁 교수

- Aflat membrane patch amplifies antiviral activity of virus-binding ligands beyond simple virustatic effect through envelope perforation

전남대학교 김동일 교수

- Non-invasive administration of AAV to target lung parenchymal cells and develop SARS-CoV-2-susceptible mice

농림축산검역본부 최준구 박사

- Development of African Swine Fever Vaccin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중점연구소 Mini 세미나 개최(9)

전남대학교 김동일 교수(2020)

- Adeno-associated virus를 이용한 조직 특이적 과발현 및 낙아웃 마우스 제작

서울대학교 한승현 교수(2020)

- Lipoteichoic acids as a major virulence factor causing inflammatory responses via toll-like receptor 2

예산황새공원 김수경 박사(2020)

- 황새의 한반도 텃새화 프로젝트(1996~202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성백린 교수(2021)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백신 전략

충북대학교 노윤석 교수(2021)

- UBE2N confers protection agains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University of Pittsburgh 김종원 박사(2021)

- Redox regulation of redox-reactive cysteine by Srxn1 attenuates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liver fibrosis

울산반려동물문화센터 박현종 센터장(2021)

- 반려견을 위한 문화공간 조성 및 질병관리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 류재용 책임연구원(2021)

- Cloning의 이해와 최신 트렌드 소개

전북대학교 차장옥 박사(2021)

- Trick of Statistics


자체 연구성과 발표

정기적으로 생체안전성연구소 공동연구원이 저널 클럽을 운영하여 연구 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한 소개와 토의를 실시

연구소 홍보

연구소 및 연구 활동을 대외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인터넷신문에 생체안전성연구소의 대학 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선정에 관한 내용을 보도

학교 및 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연구 성과를 대외적으로 홍보

연구소 및 연구 활동을 대외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인터넷신문에 생체안전성연구소와 경성대학교의 기능성소재대사체연구지원센터와의 MOU 체결 내용을 보도


 

3. 핵심연구인력 육성 계획 대비 추진 경과


계 획

세 부 내 용

추 진 경 과

연구소 핵심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

핵심연구인력 지원 계획

중점연구소 선정에 따른 전임 연구 인력의 시설 지원

핵심연구교수 4인과 핵심연구원 8인 채용 및 유지

중점연구소 선정에 따른 핵심연구인력의 연구공간 확보

특성화·전문화된 인력 육성을 위한 Mini Seminar 운영

Mini Seminar의 운영 목적

다양한 연구 분야에 소속된 인력들의 학문적 다양성을 넓히고, 자신의 연구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해 과학자로서의 자질과 각자의 전공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

Mini Seminar 발표 9

자체 연구성과 발표

격주로 각 연구실 별 저널클럽을 운영하여 연구 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한 소개와 토의를 실시

특성화전문화된 인력의 배출

생체안전성연구소 소속 전임연구원(박사급) 채용 및 활용

생체안전성연구소 소속 핵심연구원(박사급) 채용 및 활용

핵심연구원 채용 및 각 해당 전공분야에서 대학원생 지도

핵심연구인력 및 참여연구원의 독립된 연구비 수주 및 개인 연구과제 수행 (과제수행책임자/지원기관/연구비)

- 이숙영/한국연구재단/1.5억원

- Uyangaa/한국연구재단/1.5억원

- 최자운/한국연구재단/2.1억원

- 김종원/한국보건산업진흥원/1.04억원

- 박성옥/한국연구재단/0.4억원

- 홍정민/한국연구재단/0.4억원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