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체 및 지역기반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및 기술개발
-기능성 물질 및 백신, 치료제 개발을 위해 예스킨, 윙스타바오, SK바이오사이언스와 같은 산업체와 공동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해 기술 및 정보 교류
-전북 지역에 위치한 국립 축산과학원, 안전성평가연구소 정읍 분원 등과의 협력관계 유지
-Pan-sarbecovirus 합성 백신 및 일본 뇌염 mRNA 백신 개발의 CEPI consortium 기반 ㈜SK바이오사이언스 공동연구를 비롯하여 지구기후변화 대응 매개체전파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컨소시움 과제(총 24억)를 ㈜대한뉴팜과 연구를 진행
-노바렉스와 공동연구를 통해 면역억제 동물모델(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ive model)에 Molokhia 투여 시 CD4+CD8+T 및 NK 세포활성 신호네트워크를 분석함. T 및 NK 세포활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Molokhia 투여에 의해 비장면역세포의 단백질 및 유전자의 신호전달기전을 규명
◎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COVID-19 백신 연구) 김범석 연구소장은 COVID-19 백신과 관련된 실험을 위해 이탈리아 University of Parma에 제직중인 Gaetano Donofrio 교수(사진)와 국제공동연구를 진행하였으며 Frontiers in immunology에 양국이 공동으로 관련 논문을 발표
-(바이러스 면역 및 Crispr cas9연구) 연구소장인 김범석 교수는 미국 스탠포드 의과대학의 Dr. Greenberg 교수와의 교류를 구축하고,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네바다주립대학의 최원규 교수와 Crispr cas9과 관련된 연구협력 관계를 위해 교류를 논의
-(NSrp70 단백질의 다양한 급‧만성 간질환에서 역할) 간세포 특이적인 NSrp70 결핍에 의해 변화되는 Alternative splicing pattern 및 다양한 급‧만성 간질환에서 NSrp70의 타겟 유전자를 조사하기 위해 Alternative splicing factor 분석의 전문가인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용정식 교수팀과 연구 협업을 진행함. 간세포 특이적으로 NSrp70이 결핍된 마우스의 간으로부터 분리한 간세포를 이용하여 IGV(Integrative Genomics Viewer) 분석 및 MISO (Mixture of Isoforms) 시퀀싱을 진행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는 후보 인자들을 선별
◎ MOU 체결
-베트남의 Institute of Veter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IVRD) of Central Vietnam, 전북대학교 Zoonosis 핵심연구센터, 그리고 본 연구소와 다양한 동물 질병 근절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MOU)을 2023년 2월 6일에 체결
◎ 글로벌 연구 융합을 위한 기관 간 연구역량 강화
-대만국립대학(National Taiwan University), 국립충칭대학(National Chung-Hsing University), 북해도대학(Hokkaido University) 수의과대학과 글로벌 연구 융합 및 대학원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회의를 대만에서 진행하였으며, 4개의 대학이 한자리에 모여 국제 공동연구 및 연구 교류 협력을 위한 MOU체결을 목적으로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2023년 10월 20일에 2차 회의를 갖고 구체적인 방안을 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