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안전성연구소는 사람을 비롯한 동물 등 생명체의 생활환경과 각종 유해요인에 관한 기초 및 응용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생명체를 위한 최적 환경의 보존유지와 생명과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우리 연구소에서는 각종 환경 유해인자 및 병원성 생물이 사람을 위시하여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요인 특히 수자원과 토양의 환경오염이 생태계 및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하여 그 방제방안을 탐색한다. 한편, 유해물질이나 병원성 생물에 대한 생체 안전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확보, 공급하고 그 질병의 예방 대책을 확립합니다.
이와 같은 연구 분야는 다음 6개의 연구 분과가 분담하여 수행합니다.
연구 분과 | 연구 분야 |
---|---|
병원체연구분과 | 병원성 생물의 생체내 감염에 따른 생물학적 및 면역 병리학적 영향과 그 예방에 관한 연구 |
일반독성연구분과 | 각종 유해인자(화학물,면역치료제 등)의 급성, 아급성, 만성 독성에 관한 연구 |
특수독성연구분과 | 각종 환경 유해인자의 변이원성 기전, 발암작용에 관한 연구 |
환경공해연구분과 | 환경 요인이 생태계와 생체에 미치는 영향과 그 방제방안에 관한 연구 |
수질토양연구분과 | 수자원과 토양의 환경 오염이 생태계 및 생체에 미치는 영향과 그 방제방안에 관한 연구 |
실험동물연구분과 | 다양한 질환모델 설정과 생체안전성에 관한 연구 |
또한, 우리 연구소는 축산 식품을 포함한 모든 식품의 안전성 검정, 환경파괴의 예방 감시, 인수공통성 전염병의 방제, 실험동물을 이용한 의약품의 안전성 검정 등의 제반 유해 요인을 사전에 검색 할 수 있는 충분한 연구 기능 및 인적 자원을 갖추고 있습니다.
인간의 주변에 잠재하고 있는 모든 해로운 물질이나 생물을 검색, 제거 또는 박멸하기 위하여서는 연구원의 전문 영역이 다양하여야 하는데 우리 연구소에서는 이를 신속하게 완수할 수 있는 것이 특성이다. 즉, 의학, 환경공학, 식품영양학, 농학, 수의학 등의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외국이나 타 대학교의 전문 인력이 객원연구원 또는 자문연구원으로서 과감하게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특히, 전라북도는 경제적 기반이 다른 광역시나 도에 비교하여 연약하기 때문에 도내에서 생산되는 공산품이나 축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검정할 수 있는 최고급 전문 인력이 활동하고 있는 연구소가 없으며, 더욱이 우리 연구소의 시설이나 기자재 보유 현황이 미흡하여 대학의 시설이나 기자재를 활용하고 있으므로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데 매우 만족스럽지 못하겠지만 우리 연구소의 설립 목적에 부합된 기능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인적 자원과 시설이나 기자재를 확보 또는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한편, 우리 연구소는 법정화 된 이후부터 계속 매년 교육부로부터 국비 예산과 대학본부로부터 연구소 운영보조금을 지원받고 있으며 또한 자체 생산한 실험동물을 각각의 연구원의 연구 활동에 보탬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독지가들로부터 발전기금을 모금하여 풍족하지는 않지만 매년 연구원들에게 연구보조금을 지원함으로써 연구원들로 하여금 학술연구 활동을 촉진하여 연구소를 원활하게 운영하고 있는 셈입니다.